몇년전부터 금값 상승으로 인해 금투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올라도 너무 올라 이제 하락기가 아닌가 하고 염려하는 부류와
아직은 상승기라고 보는 긍정부류가 있다.
금은 대표 안전자산이다.
금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날마다 역동적으로 변한다. 금은 온스, 그램 또는 킬로그램 단위, 한 돈 단위 등으로 나타내므로 구입시 잘 계산해서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 금투자 하는 이유
금(Gold)은 희소성과 변하지않는 영구적 가치, 국제통용 등의 이유로 이미 수천년전부터 귀중한 자원으로 여겨졌으며 고대부터 실제 통화로 금화, 은화 등 화폐로도 쓰였다.
뿐만 아니라 금은 화폐가치가 떨어질 때 금값이 상승하는데 지금처럼 물가가 불안하고 은행이자율이 낮고 세계정세가 전쟁, 관세 등의 이유로 불안한 시국일 때 금은 그 가치가 더욱 상승하여 ‘안전자산’ 1위로 뽑힐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 등이 금(Gold)은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이유이지만 금을 사서 보관하면 이자를 받지 못하므로 만약 은행이자율이 높다면 금값은 하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금투자는 장기적 안정적으로 접근해야하며 몰빵이 아닌 분할매수를 추천해 본다.
위의 금값 상승요인과 반대로 금값하락 요인은 금리상승과 달러강세, 물가안정, 경기회복이 되면 금값은 자연적으로 안정을 되찾거나 하락하는 시기가 올 것이다.
◈ 금시세 알아보는 방법
1. 금거래소 공식 사이트에서 조회
한국금거래소, 한국감정금거래소, 한국표준금거래소, 삼성금거래소 등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24k, 18k, 14k 등 다양한 금 제품 시세를 1g단위나 1돈(3.75g) 단위로 시세 제공
2. 한국금거래소(KRX) 금시장 시세 조회
가장 공신력 있는 금현물거래시장으로 부가세없이 매매가 가능하며 1g 단위로 실시간 시세 제공
3. 은행 및 증권사 사이트에서 조회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미래에섯증권, NH투자증권(namu) 등에서 조회 가능하고 금통장, 금ETF 등 투자상품정보도 확인 가능
4. 포털 및 모바일 앱
다음이나 네이버,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금시세 확인 가능하고 Investing.com, Kitco 등 글로벌 앱을 통해 국제금시세도 실시간 확인 가능
5. 경제뉴스 및 커뮤니티 활용
한국경제, 매일경제 등 경제뉴스 사이트에서 금값변동 원인과 시장전망을 종합적 파악 가능
◈ 금투자 하는 방법
금 가격은 국제와 국내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며 투자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고 시세도 다르고 파는 가격과 사는 가격도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금투자는 어느 한쪽면만 보고 금투자를 하면 조금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싼 가격에 사거나 싼값에 팔 수가 있기 때문에 금투자 방법을 알고 투자를 하여야 손실을 면할 수 있다.
상기에 표기한 금시세 조회방법을 통해 금시세를 실시간 알아보고 참고하여 결정하면 좋을 것이다.
필자도 늦은 감은 있지만 작년부터 금투자를 조금씩 하고 있다.
일 년 정도의 금투자 방법에 대하여 공부하여 본 결과 가장 안정적이고 실패하지 않는 방법 두 가지를 추천해본다.
1. KRX금거래소 이용
KRX금거래소는 증권사 계좌를 개설한뒤 주식처럼 사고 팔고 하는 것으로 주식을 해 본 사람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1g(그램) 단위로 살수 있고 1kg(킬로그램) 단위도 가능하다.
KRX금거래소 금투자 방법이 가장 좋은 점은 이자소득세나 배당소득세, 양도세가 없다는 점이다. 다른 금통장이나 금현물ETF 금선물ETF 등은 세금이 있다. 이 KRX금거래소에서 거래를 하면 일반 주식거래처럼 거래수수료만 내면 된다. 거래수수료는 증권사마다 다르므로 알아보고 선택하면 되는데 참고로 미래증권은 0.165%, 나무증권은 0.22%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수시로 사고팔고가 가능하나 실물인출을 하고싶을 때는 1kg단위로 가능하며 이때 부가세가 10% 부과되는점을 꼭 알아야한다.
2. 골드바 실물 구매
골드바 실물 구매를 추천한다. 자신의 보유자금의 장기화에도 흔들리지 않을 만큼의 돈으로 매수를 추천한다.
골드바 투자는 장기적으로 보고 투자하는 것이어서 하루만에 사고팔고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파는 가격과 사는 가격은 한 돈(3.75g) 기준으로 8만에서 10만원 정도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골드바를 사게 되면 돈이 묶이니까 장기적으로 묻어두어도 괜찮은지 판단 후 골드바를 사기를 권한다.
구매시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동네금은방이나 중매거래시는 부가세가 없고 은행 등을 통해 구입시는 부가세10%를 내야하는 점을 알아야한다. 그리고 금(골드바)과 은(실버바)은 시세변동성이 거의 같이 가므로 참고하시길 바란다.
필자 같은 경우는 상기 1.과 2.의 방법을 병행하고 있다.
분할매수를 추천 드리지만 금값은 언제나 거의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으므로 분할매수가 매력이 없을 수도 있다. 지금이 가장 싼 때 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금투자에 대한 판단은 자신의 몫이어야 한다.
◈ 금가격 상승 요인
금값 상승 전망의 요인을 보자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경제불황과 금융위기, 물가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의 하락, 금은 달러로 거래되므로 달러의 약세화와 전쟁이나 테러 등 지정학적 리스크, 중앙은행의 금매입 등은 금값의 상승세 요인이 될 것이다.
◈ 금가격 하락 요인
금값의 하락요인으로 금리인상이 있다. 금은 이자를 주지않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투자매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달러 강세와 경기회복이 되면 리스크가 있어도 주식이나 부동산 쪽을 택할 확률이 높아 금값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 2025년 국제 금값 전망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미국 금리의 정점 도달 예상, 달러 약세 가능성 등을 보면 상승이 전망되나
미국 금리 유지 또는 추가 인상, 달러 강세 유지, 경기 연착륙 가능성이 있으면 하락의 가능성도 나온다.
◆ 골드만 삭스 (Goldman Sachs)
골드만삭스는 2025년 말 금 가격 전망을 온스당 $3,700로 상향 조정했다.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와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한 ETF 유입 증가를 주요 요인으로 들었다.
◆ UBS
2025년 금 가격을 $3,500로 전망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무역의 불확실성, 성장둔화, 지정학적 리스크를 주요상승 요인으로 지목했다.
◆ Bank of America (BofA)
2025년 평균 금 가격을 $3,063로 전망하며, 투자 수요 증가와 중앙은행의 금 보유 확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 CoinCodex
2025년 금 가격이 $3,189.36에서 $4,794.06 사이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상하며, 연평균 가격은 약 $4,039.98로 전망했다.
◈ 지금 금(골드바) 사도 될까?
종합적으로 금값의 미래를 보면 지금이 고점 근처같지만 여전한 경제불황과 세계적 금융위기, 트럼프의 관세전쟁, 물가상승 등의 이유로 금가격은 향후에도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급등보다는 점진적 상승 또는 횡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금투자를 고려한다면 약간의 조정기간을 가질 때 금매입을 해 보는건 어떨까싶다.
※ 금투자에 대한 개인적 소견입니다. 금투자는 돈이 묶이는 것이므로 신중을 기해서 해주세요. 그렇지만 상기 금투자하는 방법의
1.KRX금거래소 방법으로 투자하면 수시로 사고팔고가 가능해서 현금이 묶이는 일은 없습니다.
최근금값 하락요인 참조 클릭 ➡ 최근 금값 하락 요인(4/23~현재) 및 매수 매도 타이밍 V 스테이블 코인과의 상관관계
'요즘 HO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iphone)이 300~400만원 해? (2) | 2025.04.13 |
---|---|
상호관세가 뭐예요? (2) | 2025.04.10 |
트럼프 탄핵의 이유와 미국 주식 전망 (3) | 2025.04.08 |
포트럭(Portluck)에 대한 모든 것 (3) | 2025.04.06 |
챗GPT가 남기는 지브리 (2) | 2025.04.05 |